미국 주식
익명
2023-07-16 03:10 104 0
관련링크
- https://m.blog.naver.com/Pos 24회 연결
입장 후 5분안에 인사나 소개해주세요
대화명 변경
중복 기본 대화명 안됩니다
단순 성의 없는 닉도 강퇴 대상입니다
예 : 음료수 마시는 어피치 존버 가즈아 뚝배기 떡상 ㄱㄴ 초성
인사 후 '저는 광고가 아닙니다'를 채팅창에 입력해주세요(광고 식별)
우리 방에서 가능합니다
반말 존대 일상 소통 잡담
이런 경우 경고 없이 강퇴합니다
시비 싸움 자료 출처 질문
정치적 의견을 지나치게 강조 반복
젠더 이슈
들락
투자 경력이 얼마 되지 않았거나 오픈채팅이 익숙하지 않은 분의 경우 공유 되는 특정 종목에 너무 집중 하지 않기를 권유합니다
고수의 최애 종목은 쉽게 공유 되지 않습니다
초보분이 보고 있는 공유 된 종목은 다른 초보가 물려서 선동 하는 기업일수 있습니다
장기 배당 우량 투자 환영
단타 숏 존중
성공으로 가는 길은 항상 좁고 어렵습니다.
실패할 수 있는 원인들 중 하나라도 모른다면,
그게 힘들게 쌓은 탑을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단기 트레이딩을 할 때 겪을 수 있는 실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1. 너무 많은 자본으로 트레이딩 ]
잘하시는 분들을 따라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카피 트레이딩이라고도 하죠.
따라서 몇 번 벌다 보면, 다음과 같은 생각이 자연스럽게 듭니다.
"아니 100만원이 아니라 1000만원 넣었으면, 훨씬 더 벌겠네?"
그동안 번 돈, 모은 돈, 벌 돈, 남의 돈까지 빌려서 투자하기 시작하다가 결국 크게 잃게 됩니다.
시작할 땐 항상 적게 시작하세요.
적어도 1년 이상 꾸준히 하다가, '확실할 때만' 더 넣는게 좋습니다.
그 다음 순서는 돈을 '더' 넣는게 아닌, 번 돈을 출금하고, 나머지로 다시 키우는 겁니다.
[ 2. 엄청난 수익을 기대하는 것 ]
워렌 버핏이 매년 12%씩 수익을 냈다는 사실조차 까먹고, 단 며칠 만에 부자가 되기를 바랄 수 있습니다.
항상 기대를 낮추고,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세요.
작게 복리로 굴려야 오래갑니다.
[ 3. 매일 수익을 내길 기대 ]
가장 친한 친구와 같이 계획했던 최악의 계획은 "매일 1% 씩 먹는 것"입니다.
불가능하고,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안 좋은 상황에서 진입하게 만들었고, 다른 사람들이 수익을 낼 때, 자신의 계좌는 타들어가게 됩니다.
몸을 구겨서 들어간다고 표현하죠.
매일 10%씩, 매주 100%씩 번다고 자랑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3년 실현손익 그래프를 보여달라고 하세요.
아마 얼어붙을 겁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선, 큰 수익이 아닌, 지속성이 중요합니다.
[ 4. 언제 나올지 모르는 것 ]
포지션에 진입하기 전에, 수익이든 손실이든, 어디서 나올지 미리 알고 있어야합니다.
이걸 알고 있으면, 적어도 크게 잃는 일은 없고, 트레이딩이라는 것 자체가 달라집니다.
하지만 지혜에는 시간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해 못할 수도 있지만, 이게 현실입니다.
[ 5. 지표를 어떻게 만든지 모르면, 지표가 소용이 없습니다 ]
RSI 다이버전스를 사용해서 트레이딩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 대다수는 RSI가 뭔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혹은 그게 통계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는 모릅니다.
이러고 나서 손실을 보고 또 보고 난 후에 결국엔 "고래들이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화입마가 오게 됩니다.
지표를 깊이 이해하고, 무엇을 보여주는지 알지 못한다면 제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장 단순한 이동평균선, MACD, 확률에 연관된 지표부터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 6. 트레이딩 '친구'가 없는 것 ]
개인적으로 이게 제일 중요합니다.
'의심'을 가질 정도로 성장했고, 나눌게 있을 때, 같이 트레이딩하는 '친구'를 만드세요.
의견을 나누고 관점을 나눌 사람이 있어야 배우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 7. 한 전략에서 다른 전략으로 자주 바꾸기 ]
그 어떤 전략도 짜임새 있는 논리가 없으면 말도 안 돼 보입니다. 하지만 그 논리를 이해하면 적어도 1000번을 사용해보세요.
절대 이해하지 못했으면, 단 한 번이라도 트레이딩 하지 마세요.
직접 검증하거나 백테스트 해보지 않았다면, 그건 여러분의 전략이 아닙니다.
'어디서 본 거'로 트레이딩하면 안됩니다.
지금까지 실수할만한 아이디어들을 알아봤습니다.
이해하고 고치고, 직접 적용해본다면 트레이딩을 보는 관점이 달라질겁니다.
꾸준히 연습하고 트레이딩의 성과를 개선했으면 좋겠습니다.
https://youtu.be/85z8yuq3JsU
대화명 변경
중복 기본 대화명 안됩니다
단순 성의 없는 닉도 강퇴 대상입니다
예 : 음료수 마시는 어피치 존버 가즈아 뚝배기 떡상 ㄱㄴ 초성
인사 후 '저는 광고가 아닙니다'를 채팅창에 입력해주세요(광고 식별)
우리 방에서 가능합니다
반말 존대 일상 소통 잡담
이런 경우 경고 없이 강퇴합니다
시비 싸움 자료 출처 질문
정치적 의견을 지나치게 강조 반복
젠더 이슈
들락
투자 경력이 얼마 되지 않았거나 오픈채팅이 익숙하지 않은 분의 경우 공유 되는 특정 종목에 너무 집중 하지 않기를 권유합니다
고수의 최애 종목은 쉽게 공유 되지 않습니다
초보분이 보고 있는 공유 된 종목은 다른 초보가 물려서 선동 하는 기업일수 있습니다
장기 배당 우량 투자 환영
단타 숏 존중
성공으로 가는 길은 항상 좁고 어렵습니다.
실패할 수 있는 원인들 중 하나라도 모른다면,
그게 힘들게 쌓은 탑을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단기 트레이딩을 할 때 겪을 수 있는 실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1. 너무 많은 자본으로 트레이딩 ]
잘하시는 분들을 따라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카피 트레이딩이라고도 하죠.
따라서 몇 번 벌다 보면, 다음과 같은 생각이 자연스럽게 듭니다.
"아니 100만원이 아니라 1000만원 넣었으면, 훨씬 더 벌겠네?"
그동안 번 돈, 모은 돈, 벌 돈, 남의 돈까지 빌려서 투자하기 시작하다가 결국 크게 잃게 됩니다.
시작할 땐 항상 적게 시작하세요.
적어도 1년 이상 꾸준히 하다가, '확실할 때만' 더 넣는게 좋습니다.
그 다음 순서는 돈을 '더' 넣는게 아닌, 번 돈을 출금하고, 나머지로 다시 키우는 겁니다.
[ 2. 엄청난 수익을 기대하는 것 ]
워렌 버핏이 매년 12%씩 수익을 냈다는 사실조차 까먹고, 단 며칠 만에 부자가 되기를 바랄 수 있습니다.
항상 기대를 낮추고,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세요.
작게 복리로 굴려야 오래갑니다.
[ 3. 매일 수익을 내길 기대 ]
가장 친한 친구와 같이 계획했던 최악의 계획은 "매일 1% 씩 먹는 것"입니다.
불가능하고,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안 좋은 상황에서 진입하게 만들었고, 다른 사람들이 수익을 낼 때, 자신의 계좌는 타들어가게 됩니다.
몸을 구겨서 들어간다고 표현하죠.
매일 10%씩, 매주 100%씩 번다고 자랑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3년 실현손익 그래프를 보여달라고 하세요.
아마 얼어붙을 겁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선, 큰 수익이 아닌, 지속성이 중요합니다.
[ 4. 언제 나올지 모르는 것 ]
포지션에 진입하기 전에, 수익이든 손실이든, 어디서 나올지 미리 알고 있어야합니다.
이걸 알고 있으면, 적어도 크게 잃는 일은 없고, 트레이딩이라는 것 자체가 달라집니다.
하지만 지혜에는 시간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해 못할 수도 있지만, 이게 현실입니다.
[ 5. 지표를 어떻게 만든지 모르면, 지표가 소용이 없습니다 ]
RSI 다이버전스를 사용해서 트레이딩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 대다수는 RSI가 뭔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혹은 그게 통계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는 모릅니다.
이러고 나서 손실을 보고 또 보고 난 후에 결국엔 "고래들이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화입마가 오게 됩니다.
지표를 깊이 이해하고, 무엇을 보여주는지 알지 못한다면 제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장 단순한 이동평균선, MACD, 확률에 연관된 지표부터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 6. 트레이딩 '친구'가 없는 것 ]
개인적으로 이게 제일 중요합니다.
'의심'을 가질 정도로 성장했고, 나눌게 있을 때, 같이 트레이딩하는 '친구'를 만드세요.
의견을 나누고 관점을 나눌 사람이 있어야 배우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 7. 한 전략에서 다른 전략으로 자주 바꾸기 ]
그 어떤 전략도 짜임새 있는 논리가 없으면 말도 안 돼 보입니다. 하지만 그 논리를 이해하면 적어도 1000번을 사용해보세요.
절대 이해하지 못했으면, 단 한 번이라도 트레이딩 하지 마세요.
직접 검증하거나 백테스트 해보지 않았다면, 그건 여러분의 전략이 아닙니다.
'어디서 본 거'로 트레이딩하면 안됩니다.
지금까지 실수할만한 아이디어들을 알아봤습니다.
이해하고 고치고, 직접 적용해본다면 트레이딩을 보는 관점이 달라질겁니다.
꾸준히 연습하고 트레이딩의 성과를 개선했으면 좋겠습니다.
https://youtu.be/85z8yuq3JsU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